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19년 개봉작
- 쿠키런 킹덤
- 2018년 개봉작
- 스테픈 커리 파이널 MVP
- 라디오천국
- 2001년 개봉작
- 1990년대 영화
- 왓챠
- 넷플릭스
- 2010년대 영화
- 카카오페이
- 레그레이즈
- 앱테크
- 63호
- 2022년 영화
- 그래스호퍼
- 싱어게인2
- 토스
- 설거지하며 영화보기
- 2022년 NBA final 파이널 6차전
- 넷플릭스 영화
- 코로나
- 2000년대 영화
- OTT
- 엑셀 excel
- 유희열
- 2005년 개봉작
- 구글
- GRASSHOPPER
- 2020년대 영화
- Today
- Total
It's not over until you win
[Grasshopper] Fundamentals I-7. Loops II 본문
7챕터다.
1-7-1. Counting with Loops
Classic for loop? 이 말의 의미를 모르겠다. 다만, 형식이 있다고 봤다.
우선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for ( var i = 0 ; i < 10 ; i = i + 1 ) { print ( i ) ; } |
0부터 9까지를 찍어보라는 뜻이며, 형식은 위와 같이, i는 0부터 시작하고, i가 10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하는데, 할 때마다 +1 하라는 의미다.
1-7-2. Used a Classic For Loop
for 안에서 어떤 형식을 취해줘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한다.
1. 우선 i를 정의하고,
2. i가 언제까지 loop를 해야하고,
3. i가 반복될 때마다 뭘 해야 하는지...
1-7-3. What's i?
간단한 문제다.
for ( var i = 0 ; i < 5 ; i = i + 1 ) { print ( i ) ; } |
for ( var i = 10 ; i > 0 ; i = i - 1 ) { print ( i ) ; } print ( 'Happy New Year' ) |
for ( var adj of ['Lost', ;Raging', 'Fake', 'Anonymous' ] { for ( var noun of [ Pharmacists', 'Squids', 'Twins', 'Feels' ] ) { print ( 'The' + adj + noun) ; } } |
1-7-6. Used Nested Loops
for ( var outerNumber of [ 1, 2, 3, 4, 5 ] ) { for ( var nestedNumber of [ 6, 7, 8, 9 ] ) { print(outerNumber, nestedNumber) ; } } |
이렇게 하면 어떻게 표현될까?
16
17
18
19
26
27
..
..
..
59 까지 차례대로 나오겠지?
1-7-7. What's the Order?
문제다. 아래 코드를 표현하면 어떻게 나올까?
for ( var activity of [ 'dancing', jumping', 'singing' ] ) { for ( var family of [ 'brother', 'mother', 'father' ] ) { print ( activity + ' ' + family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