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유희열
- 엑셀 excel
- 2022년 영화
- 쿠키런 킹덤
- 라디오천국
- 카카오페이
- 넷플릭스
- 2022년 NBA final 파이널 6차전
- 2020년대 영화
- 넷플릭스 영화
- 구글
- 2000년대 영화
- 레그레이즈
- 2018년 개봉작
- OTT
- 싱어게인2
- 앱테크
- 1990년대 영화
- 2001년 개봉작
- 코로나
- 설거지하며 영화보기
- 스테픈 커리 파이널 MVP
- 토스
- GRASSHOPPER
- 그래스호퍼
- 왓챠
- 2019년 개봉작
- 2010년대 영화
- 2005년 개봉작
- 63호
- Today
- Total
목록금융/주식 (6)
It's not over until you win
유상증자는 보통 주식시장에서 악재이다. 증자는 곧 주식수의 증가를 야기하며, 주식수가 증가한다는 건 그만큼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대로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이 발생하면 주식수 감소에 따른 가치상승으로 주가는 상승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2023.6.20(화) CJ CGV는 유상증자 결정 공시를 올렸다. 발행주식은 74,700,000주로, 기존 47,728,537주가 있으니, 발행 후에는 총 122,428,537주가 된다. 게다가 전환사채가 있으니 주식수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예정발행가는 7,630원으로, 5,700억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데,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진행한다. 6/20 종가는 14,500원이었는데, 발행가가 7,630원이니 하락은 뻔한 상황이다. (6/21 전일대..
한샘은 2022년말 기준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상장 후 첫 적자로, 2021년 7월 사모펀드의 인수 이후로, 즐거운 얘기를 듣기 어려웠다. 금리는 오르지, 부동산 시장은 위축되어 거래량이 급감해 수요는 없지, 주가는 계속 빠지지. 그런데다, 오늘 한샘 주가에 악재가 될 수도 있는 기사가 났다. 주식분석이라고 거창하게 달아놨지만, 오늘 본 기사가 눈에 띄어 적어본다. YTN 보도에 따르면, https://www.ytn.co.kr/_ln/0134_202303151309108787 [자막뉴스] 한 달 치 월급 받고 '권고사직', 가구 1위 한샘의 배신 한샘 공장 맞은편의 제품 포장용 골판지 공장.원청업체인 ... www.ytn.co.kr 한샘 골판지 물량의 70%를 공급해왔던, 제품 포장용 골판지 공장은..

2022년 주식시장 개장 첫날부터 악재가? 2022년 첫 주식거래가 오전 10시로 예정되어 있는데, 9시가 되기도 전에, 오스템임플란트가 거래정지라는 알람이 떴다. 갑자기 무슨 일이지? 지금은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작년까지 조금 보유한 적이 있던 터라 갑자기 무슨 일일까 궁금했다. 그런데...횡령사건? 공시를 보니, 2021년 말일에 외사의 자금관리 직원이 1,880억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하여 강서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나와있다. 자기자본이 2,048억인 회사에서 현금보유를 얼마나 하고 있었길래 1,880억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이 횡령될 수 있었을까? 그것도 말일에나 확인했다니. 아마도 연말을 마감하면서 숫자 등을 마무리하다가 튀어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첫날부터 거래정지! 상장사에 횡령, 배임혐의가..

6/10(목) 한국시장에 넷마블의 기대작 제2의나라가 오픈되었다. 며칠전 대만에는 이미 풀린 바 있는데, 게임평은 극명하게 좋은 쪽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얼마전부터 마케팅을 위해 여기저기 광고가 많이 나왔다. 유튜브를 봐도 나오는걸로 봐서 홍보에 열을 올리는 듯 하다. 데브시스터즈가 쿠키런 킹덤으로 대박이 나고 주가도 치솟는 걸 목격한 후로는 게임 런칭시점의 평가에 따라 주가변동이 크다는 걸 배웠다. 쿠키런 킹덤으로 데브시스터즈는 대박 게임회사로 변모했다. 1월 런칭이후 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다 이제는 주춤하고 있지만, 1만원대에 있던 주가가 최고 16만원까지 올라가는 걸 보면 게임의 흥행여부는 주가와 직결된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최고점 이후 하락추세로 흘러가는데, 그 흐름은 게임의 지속력이 유기적..

어제(6/9) 쌍방울이 상한가에 도달했다. 하림은 22% 올랐다. 이스타항공 인수전에 뛰어들었다는 이유다. 두 회사의 주가 모두 어제에 이어 오늘도 올랐다. 상한가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쌍방울은 약 15%의 상승, 하림은 6% 상승했다. 이스타항공은 2020년 제주항공이 인수하려다 코로나19로 인해 본인들도 어찌될 지 모르는 상황이 되자 딜이 무산되었다. 이후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다. 이스타항공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13곳 중 하림과 쌍방울이 있었다. (그럼 나머지 11곳은 누구?) 6/14 본입찰 때 당락이 결정될 예정이다. 하림이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니 인수한다면 좋아질 것이라 여길 수 있다. 하림은 2015년 법정관리중이던 팬오션(구, STX팬오션)을 1조원에 인수해 흑자전환을 시켰기 때문에 전혀 ..
미국에 있는 회사 DDI(Double Down Interactive)가 코스닥에 상장한다는 소식을 기사로 접했습니다. 미국에 있으면서 왜 한국 주식시장에 들어올까 의문이 들어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상장예정인 이 회사의 모회사가 국내 게임사였습니다. 그렇다면 어느정도 수긍이 가는군요. 모회사는 "더블유게임즈"입니다. 이래저래 스마트폰에 모바일 게임 좀 깔아봤다 생각했는데, 이 회사의 이름은 생소하여 좀 더 찾아봤습니다. 더블유게임즈는 소셜 카지노 게임을 개발하는 회사로 페이스북 등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하며, 국내는 법상 서비스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몰랐나보네요.) 최근에는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의한 최대이슈 52시간 근무제를 뛰어넘어, 대표의 의지로 40시간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