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1990년대 영화
- 싱어게인2
- 2022년 영화
- 쿠키런 킹덤
- 넷플릭스 영화
- 2019년 개봉작
- 라디오천국
- 2018년 개봉작
- GRASSHOPPER
- 2010년대 영화
- 왓챠
- 그래스호퍼
- 앱테크
- 2005년 개봉작
- OTT
- 레그레이즈
- 유희열
- 63호
- 코로나
- 카카오페이
- 설거지하며 영화보기
- 2022년 NBA final 파이널 6차전
- 2000년대 영화
- 스테픈 커리 파이널 MVP
- 구글
- 엑셀 excel
- 2020년대 영화
- 토스
- 2001년 개봉작
- 넷플릭스
- Today
- Total
목록금융 (14)
It's not over until you win

어제(6/9) 쌍방울이 상한가에 도달했다. 하림은 22% 올랐다. 이스타항공 인수전에 뛰어들었다는 이유다. 두 회사의 주가 모두 어제에 이어 오늘도 올랐다. 상한가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쌍방울은 약 15%의 상승, 하림은 6% 상승했다. 이스타항공은 2020년 제주항공이 인수하려다 코로나19로 인해 본인들도 어찌될 지 모르는 상황이 되자 딜이 무산되었다. 이후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다. 이스타항공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13곳 중 하림과 쌍방울이 있었다. (그럼 나머지 11곳은 누구?) 6/14 본입찰 때 당락이 결정될 예정이다. 하림이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니 인수한다면 좋아질 것이라 여길 수 있다. 하림은 2015년 법정관리중이던 팬오션(구, STX팬오션)을 1조원에 인수해 흑자전환을 시켰기 때문에 전혀 ..

내가 있는 장소의 날씨도 알 수 있고, 앱테크도 할 수 있는 앱이 있다. 하루날씨라는 앱으로 '아바티'라는 회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적립방법 1) 7분에 한번씩 터치~우선 캐시버튼을 터치하면 1캐시가 생긴다. 이 캐시는 7분이 지나면 하나가 생긴다. 하루 24시간을 분으로 환산하면 1,440분이니 하루에 약 200캐시를 모을 수 있다. 그리고 가끔 나오는 광고를 터치하면 일정의 캐시를 얻을 수 있다. 2) 미션에 참여해 캐시를 얻자.캐시적립 메뉴에 가보면 참여가능한 이벤트들이 가득하다. 비율이 너무 별로이긴 하지만...사용방법모은 캐시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생각보다 다양하게 있다. 1) 뽑기먼저 '뽑기'. 예를 들면, 51캐시를 사용해 모바일문화상품권 1천원권을 응모한다. 당첨되면 51캐시로 천원..

플리토는? 플리토는 2012년 집단지성 번역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는 전문번역 및 AI 번역 등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기업이다. 심지어 2019년에는 사업모델 특례상장의 형태로 코스닥에 상장한 1호 기업이 되었다. 상장 직후에는 @43,950원을 최고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다 코로나 시국에 @5,680원에 바닥을 찍고, 현재는 @14,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그럼 플리토를 통해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플리토에는 '아케이드'라는 서비스가 있다. 아케이드에 참여하면, 직접 번역을 하거나, 번역된 문장을 검수하는 등 마치 문제를 풀 듯 할 수 있다. 번역 하나를 완료할 경우 현재는 20~50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 번역할 내용은 끝없이 있나보다. 특별한 제한사항은 없다. 다만, 이후에 검수..
미국에 있는 회사 DDI(Double Down Interactive)가 코스닥에 상장한다는 소식을 기사로 접했습니다. 미국에 있으면서 왜 한국 주식시장에 들어올까 의문이 들어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상장예정인 이 회사의 모회사가 국내 게임사였습니다. 그렇다면 어느정도 수긍이 가는군요. 모회사는 "더블유게임즈"입니다. 이래저래 스마트폰에 모바일 게임 좀 깔아봤다 생각했는데, 이 회사의 이름은 생소하여 좀 더 찾아봤습니다. 더블유게임즈는 소셜 카지노 게임을 개발하는 회사로 페이스북 등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하며, 국내는 법상 서비스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몰랐나보네요.) 최근에는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의한 최대이슈 52시간 근무제를 뛰어넘어, 대표의 의지로 40시간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