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20년대 영화
- 2005년 개봉작
- 유희열
- 2022년 영화
- 쿠키런 킹덤
- 2010년대 영화
- 설거지하며 영화보기
- 2022년 NBA final 파이널 6차전
- 스테픈 커리 파이널 MVP
- 토스
- 63호
- 2000년대 영화
- 그래스호퍼
- 2018년 개봉작
- GRASSHOPPER
- 구글
- 1990년대 영화
- 코로나
- 앱테크
- 엑셀 excel
- OTT
- 카카오페이
- 라디오천국
- 2001년 개봉작
- 싱어게인2
- 넷플릭스 영화
- 2019년 개봉작
- 레그레이즈
- 왓챠
- 넷플릭스
- Today
- Total
It's not over until you win
글 마시 캠벨, 그림 코리나 루이켄, 옮김 김경미, 펴낸 곳 도서출판 다산기획 클로이는 말을 가지고 있다는 에이드리언을 의심했다. 그녀의 상식으로는 그가 말을 절대 가질 수 없었다. 에이드리언은 도시에 살며, 집이 작아 마당이 없는거나 마찬가지이고, 가난했다. 이 책의 화자인 클로이는 지극히 현실적인 어른의 시선을 가지고 있다. 읽어주는 동안 나는 클로이의 시각과 같았다. 대체 말이 어디 있다는 거야? 그 말은 상상 속에 존재했다. 에이드리언은 상상력을 가진 아이였다. 그의 상상 속에 살고 있는 말은 "하얀 털과 황금빛 갈기가 있고 세상에서 가장 크고, 가장 진한 갈색 눈을 가졌"다고 했다. 에이드리언의 말을 받아들이고서야 비로소 클로이의 눈에 말이 들어왔다. 어지러히, 들쑥날쑥 뻗어있는 잡초들과 꽃들 ..
1999년작, 로맨스/코미디, 2시간 4분 적어도 50번은 족히 보지 않았을까. 집에 티비가 있던 시절에는 케이블 채널 곳곳에서 나왔다. 나온지 오래되서 저작권료가 저렴한지 여러 채널에서 다양한 시간에 편성해 틀어줬다. 그걸 다 보고 있는게 우습지만, 소파에 누워 멍하게 채널을 돌리다가 이 영화가 나오면 대부분 멈추고 봤다. 아이들 덕분에 집에 티비가 치워지자 하릴없이 채널이나 돌리던 버릇도 치워져 버렸지만, OTT의 시대가 도래한 덕에 넷플릭스라는 선택지가 생겼다. 채널을 뒤적거리는 대신 넷플릭스 컨텐츠 카테고리를 뒤적거리는 새로운 버릇이 생겨버렸다. 그렇게 하염없이 들락거리다 노팅힐을 발견했다. 그 때부터였나. 자기전 안정제 복용하듯 자주 보게 되었다. 이렇게 뻔한 영화를 왜 그리도 열심히 볼까? #..
2012년작, 범죄/액션/느와르, 2시간 14분 영화 개봉 이후 TV/케이블에 팔리자 이 영화는 쉴새없이 나왔다. 영화채널에선 밤 10시 이후에 단골손님으로 편성되었고, 이런 특집, 저런 특집을 빌미삼아 많이도 방영되었다. 나는 그덕에 이 영화를 정말 원없이 봤다. 틀면 나오는 이 영화가 지겹지 않았고, 볼 때마다 새롭게 느껴졌다. 정청은 곧 황정민이었고, 황정민이 곧 정청이었다. 이중구를 연기한 박성웅은 간악함을 마구 펼친 탓에 다른 영화에서 다른 역할을 해도 이 간악함이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각인되어 버렸다. 최민식은 굳이 언급할 필요조차 없지 않을까. 촌스럽지만 잔인한 연변 거지들도 강인한 인상을 심어줬다. 서로가 두뇌싸움하는 스릴러적 요소와 한판 거하게 벌이는 액션신, 마지막 모든 걸 정리해버리는..